명령은 컴퓨터에게 특정 동작을 실행하도록 지시하는 2진코드로 가장 기본적인 부분은 동작코드(op-code)이다. 동작코드는 가감승제나 시프트, 보수와 같은 동작을 지시하는 코드로 n비트 동작 코드는 최대2^n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명령의 동작코드가 지시하는 동작은 기억장치 또는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 실행되므로 명령은 동작 뿐만 아니라 피연산자가 저장된 위치 및 결과를 저장할 위치를 지정해야 한다. 보통 피연산자의 위치는 주소로 지정한다.
※ 동작(operation)과 마이크로동작(micro-operation)의 관계 : 동작코드는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의 일부로 컴퓨터에게 특정 동작을 실행하도록 명령하는 이진 코드이다. 제어장치는 기억장치에서 명령을 읽고 동작코드를 해석하여 해당 마이크로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함수를 발생시킨다. 동작 코드가 지시하는 동작은 하드웨어로 실행되는 여러개의 메이크로 동작으로 샐항되고, 동작코드는 마이크로 동작의 집합으로 볼 수 있으므로 매크로(macro) 동작이라고도 한다.
명령어의 형식
프로그래머는 보통 고급언어(컴파일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그러나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언어는 기계어(machine language)이다. 이때 기계어로 표현되는 명령문을 명령어(instruction)라 한다. 역시 어셈플러로 표현되 명령문도 명령어라 한다.
동작 |
모드 |
주소 |
동작 (op-code: operation code) / 명령코드 : 행하고자 하는 동작을 지장, 명령형식, 데이터형식을 나타낸다. 연산자라 한다.
함수연산기능 : CPU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으로 모든 연산자기능의 주체가 되고 , 다른 기능은 이 함수 보조기능을 담당한다.(산술연산, 논리연산)
전달기능 : CPU와 주기억장치사이, CPU내의 레지스터 사이에 정보를 수행하는 기능 (적제 : Load,fetch, 저장 : Store)
제어기능 : CPU구성요소인 제어장치로 수행되며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데 사용
입출력기능 : 프로그램내장형 컴퓨터는 프로그램의 수행을 위해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억장치에 저장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모드 (mode) : 1bit짜리로 주소지정 방식을 지시 (직접번지 혹은 간접번지)
주소 (adress) / operand : 처리할 데이터(피연산자/동작을 원하는데 필요한 자료)가 어디에 있는지(주소에 관한정보)를 표현한다. 명령어 형식에 따라 0개,1개,2개,3개,를 갖을 수 있고 그 갯수에따라 cpu구조가 달라진다.
'Computer Science > 컴퓨터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명령어의 형식과 CPU구조 ( 0-3주소 ) (0) | 2012.10.15 |
---|---|
3. 명령어의 종류 (0) | 2012.10.13 |
1. 중앙처리장치(Centural Processing Unit : CPU) (0) | 2012.10.13 |
stat 구조체 (0) | 2012.05.23 |
리눅스의 특징 (0) | 2012.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