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스마트 헬스 시장의 이해

728x90
반응형

고령화사회 진입, 만성질환자 증가,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질병의 치료 뿐만 아니라 질병의 예방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기술의 발전(WiBro, LTE)과 센서 네트워크 기술(Soc, RFID)발달이 IT와 의료 융합을 촉진시키고 있다.


스마트 헬스의 정의는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스마트 단말을 바탕으로 편리하게 예방, 진단, 치료 사후관리의 새로운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2007년도에는 고령화사회에 진입했으며, 다른 국가에서는 유래가 없을 정도로 고령화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다. 2018년에는 고령화 사회, 2026에는 초고령화 사회에 도달할 전망이다.







스마트 헬스는 서비스 이용주체와 대상자에 따라 스마트 만성질환 관리, 스마트 독거노인 관리, 스마트 건강 증진, 스마트 병원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1. 스마트 만성질환 관리: 가정 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센서 및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당뇨, 고혈압, 천식 등의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2. 스마트 독거노인 관리: 가정 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센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질병 예방, 진단, 원격모니터링 등 안전한 삶의 영위가 가으하도록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3. 스마트 건강 증진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센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비만관리, 다이어트, 질병예방 등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4. 스마트 병원: 병원 내 IT 시스템 도입, RFID의 활용, 의료정보의 지디털화, 스마트 기기의 무선통신활용을 통해 환자에게 효율적인 진료 서비스 제공


국내 스마트 헬스 시장의 활성화 방향


국내 스마트 헬스 시장에 대한 전문가 조사 결과를 요약하고, 시장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시사점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국내 스마트 헬스 시장은 성장 잠재력이 높지만, 본격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보다 저렴하며 편리한 스마트 기기의 보급 증대가 필요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진단한다. 또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 생태계 전반의 기술개발, 법과 제도의 정비, 개인정보 보호, 스마트 헬스 인프라 구축 역시 중요한 시장 성장 요인이다. 따라서 스마트 헬스에 대한 이용자의 접근성을 강화하고, 법과 제도의 미흠 및 개인정보 보호 문제와 같은 장애요인을 조기에 제거하며 정책적 지원을 강구해야 한다.


또한 스마트 헬스 이용 대상자의 수요에 부합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 의료 서비스의 개념이 치료를 비롯하여 사전예방의 건강관리로 확대됨에 따라 스마트헬스에 대한 수요도 다양화 복합솨 되고 있다. 이에 이용자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스마트 헬스 서비스가 개발되어야 한다.

 


- 훤히 보이는 스마트 IT 산업과 시장의 이해 (박종현 김문구 이지형 지음) 중 204페이지

728x90
반응형